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김남일, 방현석 『백 개의 아시아 1』

  • 작성일 2014-11-22
  • 조회수 1,253



“슬픈 노래를 불러요 슬픈 노래를……”

- 김광석 「슬픈 노래」가사 중에서 -



김남일, 방현석 『백 개의 아시아 1』






17 한 수전노가 있었다. 그가 기르는 염소가 어쩌다 머리가 항아리에 끼었다. 염소가 바둥거리는 게 안 되었지만, 그렇다고 항아리를 깨기도 아까웠다. 그래서 마을 어른들한테 조언을 구했다. 하지만 아무도 그 문제를 속 시원히 풀지 못했다. 결국 마을사람들은 마하대네무타를 모셔다가 조언을 구하는 게 좋겠다고 의견을 모았다. 심부름꾼이 와서 마을을 방문해 달라고 청하자 마하대네무타는 즉시 그러마고 대답했다. 어떤 제안이든 그는 거절하는 법이 없었다.
마하대네무타는 제자들과 함께 길을 떠났다. 도중에 코끼리 부리는 추종자를 만났다.
“어디 가십니까?”
마하대네무타가 이런저런 일로 이러저러 해서 마을로 가게 되었다고 말했다. 코끼리 부리는 사람은 그런 중요한 일에 선생님이 먼 길을 걸어가시게 할 순 없다고 말하며 코끼리를 태워 주었다.
그가 마하대네무타를 코끼리에 태우고 마을로 갔다. 집 문이 작아 코끼리가 들어갈 수 없었다. 마하대네무타는 벽을 부수고 코끼리가 들어갈 수 있게 하라고 말했다.
누구의 명령인가.
“끌어당겨라.”
코끼리 부리는 사람은 주저 없이 코끼리에게 명령했다. 코끼리는 코를 걸어 당겨서 단번에 벽을 무너뜨렸다.
코끼리에서 내린 마하대네무타는 수전노에게 항아리에 낀 염소를 데리고 오게 했다. 마하대네무타는 염소와 항아리 중 어느 게 더 중요하냐고 물었다. 수전노는 조금 생각하더니 항아리가 더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마하대네무타는 칼로 염소 머리를 자르라고 말했다.
“자, 이것으로 문제는 풀렸지?”
하지만 항아리 안에 들어 있는 머리를 어떻게 자르는가. 수전노가 마하대네무타를 쳐다보며 항아리 안에 있는 머리를 어떻게 자르느냐고 묻자, 마하대네무타는 항아리를 깨뜨리게 했다.
결국 항아리도 깨지고 염소도 죽었다.




▶ 작가_ 김남일 - 소설가. 1957년 수원 출생. 작품으로 『천재토끼 차상문』『국경』『산을 내려가는 법』등이 있음.
▶ 작가_ 방현석 - 소설가. 1961년 울산 출생. 작품으로 『내일을 여는 집』『그들이 내 이름을 부를 때』『랍스터를 먹는 시간』등이 있음.


▶ 낭독_ 임형택 - 배우. 연극 「염쟁이 유씨」,「만선」, 「농담」 등에 출연. 작은신화 단원
조주현 - 배우. 연극 「감포사는 분이」, 「사랑, 지고지순하다」 등에 출연



배달하며

이 책은 “아시아적 가치가 존재하는가” 라는 자문을 던지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아시아에서 전해져오는 100개의 구비 서사들이 실려 있습니다. 위의 내용은 그 열일곱 번째로, ‘스리랑카의 엉뚱한 현자’ 이야기입니다. 엉뚱한 현자라니요, 그것 참.
그런데 이야기를 다 읽고 나면 이 현자의 가르침은 이렇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세상 사람들이여, 우리 모두 평화롭게 살자!”
진짜 현자賢者가 필요한 시대를, 우리는 살아내고 있습니다.
어쨌거나 이야기는 참 힘이 세지요.



문학집배원 조경란


▶ 출전_『백개의 아시아1』(아시아)

▶ 음악_ Stock Music /Crank City 2

▶ 애니메이션_ 송승리

▶ 프로듀서_ 양연식

추천 콘텐츠

손경숙 배우의 목소리로 듣는 김숨 소설가의 「벌」

봄을 세 번 나는 동안 벌통들에서 차례로 벌들이 부활했다. 벌들로 들끓는 벌통들을 바라볼 때마다 나는 죽은 아버지가 되살아난 것만 같은 흥분에 몸을 떨었다. 아카시아꽃이 지고 온갖 여름 꽃들이 피어날 때, 마씨와 나는 벌통과 함께 산에 들었다. 마씨는 벌들이 날아가지 못하게 벌통을 흰 모기장으로 감싸고 지게에 져 날랐다. 마씨의 뒤를 따르는 내 손에는 해숙이 싸준 김밥 도시락이 들려 있었다. 그날따라 너무 깊이 드는 것 같아 주저하는 내게 그가 재촉했다. “꽃밭을 찾아가는 거야. 조금 더 가면 꽃밭이 있지.” 정말로 조금 더 가자 꽃이 지천이었다. 토끼풀, 개망초꽃, 어성초꽃, 싸리나무꽃··· 홍자색 꽃이 흐드러지게 핀 싸리 나무 아래에 그는 벌통을 부렸다. 벌통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마씨와 내가 알몸으로 나뒹구는 동안 벌들은 꿀을 따 날랐다. 고슴도치 같은 그의 머리 위로 벌들이 날아다니는 것을 나는 꿈을 꾸듯 바라보았다. “당신 아내가 그러데, 나비를 기르면 좋을 거라고. 나는 나비가 벌보다 무서워. 우리 할머니가 나비 때문에 눈이 멀었거든. 도라지밭을 날아다니던 흰나비의 날개에서 떨어진 인분이 눈에 들어가서···” “해숙은 착한 여자야.” “착한 여자는 세상에 저 벌들만큼 널렸어!” “널렸지만 착한 여자와 사는 남자는 드물지.” 여름내 마씨와 내가 벌통을 들고 산속을 헤매는 동안 해숙은 아들과 집을 보았다. 우리가 돌아오면 그녀는 서둘러 저녁 밥상을 차려내왔다. 먹성이 좋은 마씨를 위해 그녀는 돼지고기와 김치를 잔뜩 넣고 찌개를 끓였다. 그녀에게 나는 산속에 꽃밭이 있다고 알려주었다. 벌과 나비가 어울려 날아다니는 꽃밭이. “우리도 데려가면 안 돼?” 그녀는 꽃밭을 보고 싶어 했다. “꽃밭까지 가는 길이 험해서 안 돼. 가는 길에 무덤이 얼마나 많은 줄 알아? 무덤들 중에는 내 아버지 무덤도 있지.” “근데 읍내 정육점 여자가 내게 묻더라.” “뭘?” “사내 하나에 계집 둘이 어떻게 붙어사느냐고.” “미친년!” “정말 미친년이야. 내가 살코기하고 비계하고 반반씩 섞어 달라고 했는데, 순 비계로만 줬지 뭐야.” 눈치챘던 걸까. 아니면 벌과 나비가 어울려 날아다니는 꽃밭을 보고 싶었던 걸까. 그날도 마씨와 나는 벌통과 함께 산에 들었다. 해숙이 우리를 몰래 뒤따르는 것을 알아차렸지만 나는 모르는 척했다. 해숙은 산벚나무 뒤에 숨어 마씨와 내가 토끼풀밭 위에서 알몸으로 나뒹구는 것을 지켜보았다. 날이 어두워져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아들은 마당에서 혼자 울고 있었다. 부엌 도마 위에는 해숙이 정육점에서 끊어온 돼지고기가 덩그

  • 관리자
  • 2024-06-27
최윤, 『사막아, 사슴아』를 배달하며

  • 관리자
  • 2023-12-21
방현석, 『범도』를 배달하며

  • 관리자
  • 2023-12-07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