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一人詩爲(일인시위) ‘고독사’

  • 작성일 2017-09-01
  • 조회수 1,148

[기획]

 


포에트리 슬램이란?

시를 쓴 후 이를 슬램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
2차 대전 이후 시인과 래퍼들이 이를 세상을 향한 발화형태로 표현하기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一 人 詩 爲 (일인시위) ‘고독사’ - Poetic Justice

 

 

 

 

 

DNR

 

김경주

 

 

내 가슴엔 문신이 하나 있어
DNR(do not resuscitate)이라는 글씨야
의학용어로 심폐소생술을 거부한다는 뜻이야
내 심장이 멈추면 더 이상 날 살려 주지 말아 줘
멀리 있는 자식들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아
무의미한 연명치료는 이제 그만 해줘

 

나는 매일 밤 잠들기 전 화장을 하고 자곤 해
마지막 화장일지 모르기 때문에 곱게 하고 싶어
벽에 돌아누워 화장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눈물을 흘려

 

어느덧 내 머리칼은 흰 폭설로 하얗게 변했어
이불 속에 누워서 삶이 가여워서 나는 웃곤 해
다시 아침이 온다면 살아서 웃음이 날 것 같아
열심히 삶을 속여도 늙는 건 못 막아
열심히 삶을 속여도 늙는 건 못 막아

 

밤이면 발이 차가워지고 별이 차가워지고 눈물이 차가워지곤 해
내 쇄골은 빗물이 가득 고일 만큼 파였어
심장이 멈추어 자연스럽게 죽을 수 있다면 행운이야
가장 인간다운 자연사라고 하니까

 

방구석에서 지내다가 죽어서 썩어 발견되긴 싫어
내 앞가슴의 문신을 읽어 줘
DNR do not resuscitate
열심히 삶을 속여서 여기까지 왔지만
이제 난 이불 속에 누워서 삶이 가여워서 웃곤 해
아침이 온다면 살아서 웃음이 날 것 같아

 


 

DNR

 

Kyung ju Kim

 

 

There is a tattoo on my heart.
It says DNR.
In gastroterminology this means please do not engage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f my heart stops beating please don’t try to save me.
I don’t want to be a burden on my kids.
Cures that prolong life have no meaning. I quit them.

 

Before I go to bed I urinate.
I don’t know if this will be my terminal urination, so when I pee
I wish to pee beautifully.
I turn toward the wall. Because I can’t pee, I cry.

 

All of a sudden my hair has greyed into a blizzard.
Hiding under the sheets, my life has gone to shit.
I feel bad for myself so I laugh.
If I live to see another day, what a joke.
Even if you trick life, you can’t stop getting old.
Even if you trick life, you can’t stop getting old.

 

At night my feet have gone cold. The stars have gone cold. My tears have gone cold.
In my collarbone raindrops have stagnated into a pool.
To die naturally of a heart attack would be a blessing.
That’s the most human way in natural history.

 

I don’t want to be found rotting in the corner of a room somewhere.
Read the tattoo on my chest.
DNR. Do. Not. Resuscitate.
Tricking life, I’ve come this far but
Hiding under the sheets, my life has gone to shit.
I feel bad for myself so I laugh.
If I live to see another day, what a joke.

 


 

 

 

 

 

 

 

 

단독생활동물

 

 

제이크

 

 

바다 속을 내려다보시오
난 바다거북이다. 산호초에서 수영하고 내 등껍질을 긁지.
산호초군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도 나는 다른 생선을 좋아하는 편 아니다.
내 지느러미를 잡지 마!
난 수영하면 나 혼자만 해.
나무속을 올려다보시오
난 입에서 밖으로 유칼립투스 나무 잎에 매달려 있는 코알라.
얼굴을 찡그리지 않아도 내 얼굴은 찡그리게 생겨서 계속 화가 나 보이는 동물이다
가까운 것들 내 발톱 안에 가득해
그래서 난 친구가 한 명도 없어
난 정신건강 이상 이력이 있는 불곰이다
난 동굴에서 소주 한 병 마시면서 박쥐들이 귀가 있는 것을 알아서
난 말 안 하고
동굴 벽이 내 생각들을 훔치고 싶은 것을 알아서
난 생각 안 해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들 의탁하지 마
바위로 만든 것들은 믿을 수 없지
언제 어느 때나 누구나 경찰을 부를 수 있겠지
좌심실에 살고 있는 주머니곰은
우심실의 주머니곰을 향해 으르렁거린다.
둘 다 밤새도록 싸워 난 못 자
심전도를 읽은 후 의사가
심장에 주머니곰의 똥이 가득하다고 말했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한 게 아니라
인간 심장에게 내 흉곽이 아주 작다고
버마재비가 남편의 머리를 잘랐다
남편 시체를 먹었다가 버마재비가 인간 외로움을 시작했다
그렇기 때문에 버마재비가 자살했어
개미들이 곤충류 중에 제일 사근사근한 곤충이지
개미들은 버마재비의 시체를 먹었다
세계에서 버마재비 존재의 흔적이 없어졌다
내 아파트에서 버마재비가 사라진 후에
다른 개미 음식이 없어진 것을 알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는 바닥에 누웠고 이렇게 말했다
개미들! 나를 먹으라고
그렇지만 개미들이 내 몸을 거부했고
하나씩 하나씩 개미들은 여왕개미에게 희생했다
개미 군대 없이 여왕개미는 한순간도 살고 싶지 않아서 여왕개미가 자살했지
그리고 나는 여왕개미 시체를 머리부터 먹었다
왜냐하면 나는 혼자 살 수 있다
내 삶은 혼자 사는 삶이다
곤충들, 내 제일 친한 친구들, 다 이별했지
나는 오리너구리 같다
믿기 힘들겠지만 오리너구리는 평생을 거의 완전히 혼자 산다
흙과 지조(枝條) 만든 은신처에서 오리너구리가 뺨을 핥고 있다
오리너구리가 1년에 한 번 집 밖으로 나간다
사육하기 위해
그렇다고 나는 오리너구리 같은 사람 아니다
나보다 오리너구리가 섹스 많이 하는 동물임을 알게 돼서
그런 생각을 하면 눈물이 나
난 오리너구리가 아니어서 세계에서 나를 원하는 동물이 없다
지금은 그래 난 나이 먹었고 쓸모없고 내 가족도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
옛날에 난 젊었을 때 잘생겼고 내 꿈들은 번쩍거리는 별 같았다
지금은 어두운 풀과 풀 먹는 검은 젖소의 차이를 볼 수 없지
내 꿈의 하늘이 어두워졌기 때문이다
난 혼자 살고 플라스틱 슬리퍼밖에 다른 신발이 없어
왼쪽 슬리퍼의 끈이 찢어져서 강력 접착테이프로 수리해서 붙였다
비 오는 날에 모자처럼 비닐봉지를 머리에 쓰고 여기저기 플라스틱 양동이를 흩어 놓고
물을 모아
난 양동이에 물을 모으는 것이 내 직업인 척해
난 한 양동이에 물을 모으면 5천 원을 나에게 수수료를 지급한 척해
난 6개월에 한 번 나에게 연봉을 인상한 척하고
6개월 뒤에 힘든 경제 상태 때문에 나는 나에게 연봉을 인상하지 않은 척해
길에서 지나가면 나는 너 생각하는 이 알아
무슨 냄새야?
난 염두에 두지 않는다 그 냄새는 그런 것이다
난 염두에 두지 않는 냄새이다
나는 양동이에 물은 모으는 남자이고
세계가 나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 알아
그리고 세계에서 내가 사리지면 너에게 얼마나 좋지?
나는 안 먹는 고기 지방, 통에 새우 머리, 범죄의 얼굴이 수치심,
발끝에 문질러 제거하는 각질이다
나는 잉여인간이다
목발로 편의점에서 절뚝절뚝 걸어가고
직원의 눈에 보이지 않게 소주 한 병을 산다
인간 눈알 안에 인간 인형이 있지
나는 모딜리아니 같다
몸이 있지만 눈구멍에 눈알이 없다
난 내일 죽을 거야 아무도 나를 찾지 못할 것이다
페이스북 업데이트가 없기 때문이다
아무도 죽어도 페이스북 업데이트 없다면 진짜 죽었어?
생각해 봐요
난 몇 년 동안 내 페이스북 업데이트 안 했어
그래서 몇 년 동안 아무것도 안 했어
내 죽음은 내 삶, 마찬가지잖아
걱정하지 마 난 박근혜 트럼프 같은 사람 아니다
난 hashtag 없다
너 트위터 피드에서 내 환한 빛이 없다

 

 

Solitary Animals

 

 

Jake

 

 

Look down into the sea,
I am that sea turtle using the coral to scratch the belly of my shell.
But just because I hang out at the reef doesn’t mean I like other fish.
Don’t try to grab my fin.
When I swim, I swim alone.
Look up in the trees.
I am a koala with a eucalyptus leaf sticking out my mouth.
This angry grimace is a permanent expression I wear on my face.
The insides of my claws are caked with those who get close to me.
That’s probably why I have no friends.
I am a brown bear with mental health issues.
When I drink alone in my cave I know the bats have ears,
So I don’t speak.
The walls are trying to capture my thoughts,
So I don’t think.
Never trust anyone who sleeps upside down.
Never trust anyone who is made out of earth.
Any moment someone or something might call the police.
The tasmanian devil that lives on the right side of my heart
Growls at the tasmanian devil that lives in the left side of my heart.
They fight all night so I can’t sleep.
When I got an EKG the doctor said
Both sides of my heart are clogged with Tasmanian devil shit.
It’s not that the beat of my heart is irregular
It’s that my chest wasn’t meant to hold a heart.
After the wife of the praying mantis cut off her partner’s head
And ate his body, she began to understand human loneliness
So she killed herself.
Ants, who are the most social of all insects,
Came and ate every part of her body until not a trace
Of her existence was left. After the mantis’s body was gone,
The ants scoured my apartment, but they had nothing left to eat,
So I laid on the floor and I said, Ants! Eat me!!!
But they rejected my body, so
One by one they sacrificed themselves
To their queen and then the queen killed herself because she
Couldn’t bear the thought of living without an army.
Starting with her head, I ate the body of the queen.
I can live alone
Because that is what my life has become.
The insects who were my best friends have left me.
I am like a platypus.
Believe it or not, the male platypus lives almost the entirety of its life alone.
In a simple burrow packed with dirt and twigs
In the ground above the water, the male platypus licks its face.
It only comes outside one day a year.
That day is the day he finds a female to breed with.
I guess I am not like a platypus.
When I think of this fact I realize that
Even the platypus has more sex than me and it makes me cry.
Because I am not a platypus, no animal would want to breed with me.
Not now. I am old and useless and even my family doesn’t love me.
I was once young and beautiful and my dreams were like flashing stars.
Now you can’t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ack cows bending into dark grass in the field.
That’s because the sky of my dreams has gone dim.
I live alone and the only shoes I own are plastic slippers.
The left slipper has a strap that is held together with duct tape.
On stormy days I put a vinyl bag on my head and collect water in buckets outside.
I pretend collecting rain water in buckets is a kind of job.
I pretend to pay myself 5 thousand won per bucket of rain water collected.
I pretend to promise myself a raise every 6 months and every 6 months
I pretend the economy is not doing very good
So I pretend not to give myself a pretend raise.
When I pass you on the street, I know you are looking around,
Thinking to yourself, “what’s that horrible smell?”
I don’t care anymore. That’s what the smell is.
The smell of me not caring.
I am the man with the buckets of rainwater
And I know I am not needed
And I know you want me to disappear.
That’s why I am the fat you cut off the end of your steak,
Those heads of shrimp in a tin bucket,
The look of shame on the face of a criminal,
Dead skin you scrub off the edge of your feet.
Excess human.
I walk with my crutches to the 7-11 and get a bottle of soju.
I don’t look at the eyes of the clerk when I pay.
The eyes of a human being contains a human soul
And I am like a Modigliani.
I have a body, but there is no me inside me.
I will die tomorrow and no one will find me.
That’s because there won’t be a facebook update.
If there is no facebook update, then the action didn’t happen.
For years I haven’t updated my facebook.
For years I haven’t done anything.
My death will be like my life.
Don’t worry though, I am not like Park Geun Hye or Donald Trump.
Nothing I do ends up as a hasthag.
I don’t light up your twitter feed.

 

 


 

 

 

 

 

Review

 

김봉현

 

 

이번 화의 주제는 ‘고독사’다. 김경주의 시와 제이크의 시를 천천히 읽어내려 가던 나는, 문득 이 시들이 내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혼자 살고 있고 자주 혼자 밥을 먹는다. 옆집 남자하고는 딱 한 번 인사한 것이 전부고 얼굴도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심지어 옆옆 집에는 누가 사는지도 모른다. 엄마에게는 집 주소를 틀리게 알려줬고 어젯밤에는 페이스북 친구 4천 명을 정리했다. 친구 없는 게 요즘 좀 힙해 보이는 것 같아서 오래된 몇몇과는 일부러 싸웠다. 나는 지금 거실 쇼파에 혼자 누워 맥도날드 리치 초콜릿 파이를 먹고 있는데, 만약 내가 이 상태로 죽는다면 누가 날 발견해주는 거지? 다음 책 마감을 독촉하던 편집자 고우리씨? 아니면 이 글을 받아내야 하는 이미선씨?

 

쓸데없는 상상은 이쯤 하기로 하자. 결론적으로 이번 화의 작품들은 지금까지를 통틀어 가장 접근성이 높다는 생각이다. 화려한 기교나 어려운 상징 같은 것이 거의 없어서 지금까지를 통틀어 가장 쉽게 읽혔다. 어찌 보면 시라기보다는 수필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와 별개로 엠씨메타는 ‘일인시위’ 프로젝트를 통해 실험을 계속 진행 중이다. 다양한 비트, 다양한 랩 스타일, 그리고 최근 유행하는 스타일을 계속해서 실험하고 있다. 래퍼는 새로운 것을 예전의 방식으로 말하기도 하고, 오래된 것을 새로운 방식으로 말하기도 한다. 엠씨메타는 김경주의 시를 힙합이 현재 지닌 가장 새로운 방식으로 소화했다. 고독사라고 해서 그는 고독하게 뱉어내지 않는다. 대신에 선동적이고 음울한 ‘트랩’의 방식으로 시를 재창조한다. 반면 (이번에도 동물이 등장하는) 제이크의 시를 그가 소화하는 방식은 조금 다르다. 엠씨메타는 마치 재즈 랩을 연상하는 비트와 랩으로 제이크의 시와 만난다. 자칫 밋밋해질까봐 후렴에 간단한 노래도 직접 부른다. 예상 가능한 어울림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편안하다. 모든 고독한 자는 이 노래 안에서 휴식하라.

 

 

 

 

 

 

 

 

 

 

 

김경주
참여 / 김경주

시인, 극작가, Poetry slam 운동가.

 

제이크
참여 / 제이크 레빈

아이스크림 황제

 

MC메타
참여 / MC메타

힙합 음악가. 현재 <금기어> 발표 가리온 3집 준비

 

김봉현
참여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 대중음악, 그중에서도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네이버뮤직, 에스콰이어, 씨네21 등에 글을 쓰고 있고 레진코믹스에서는 힙합 웹툰을 연재하고 있다. <서울힙합영화제>를 주최하고 있으며 김경주 시인, MC 메타와 함께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팀<포에틱 저스티스>로 활동 중이다.

 

Lei
참여 / Lei

그래픽 디자이너

 

   《문장웹진 2017년 09월호》

 

추천 콘텐츠

산책과 가을의 일

[에세이] 산책과 가을의 일 박주영 오랜만에 동네 산책을 했다. 여름이 시작되고는 햇빛이 사라진 밤 산책을 하다가 그나마도 열대야 때문에 멈춘 지 오래되었다. 오늘은 해가 뜨기 전 일어났고 스탠드를 켠 책상에 앉아 소설을 썼다. 어느새 창밖이 밝아지는 걸 보다가 해가 완전히 뜨기 전에 바깥으로 나가 걷기로 했다. 산책은 어슬렁거리며 그냥 걷는 것이지만 소설가의 산책에는 생각이 없을 수 없다. 생각을 하지 않으려는 목적이었다면 달리기를 했을 것이다. 나는 산책과 걷기를 구분해서 다이어리에 기록한다. 산책이 바라보고 생각하며 이동하는 것이라면 걷기는 건강이라는 목적을 가장 염두에 둔 움직임이다. 여름이 아니라면 산책은 주로 오후나 해질 무렵에 한다. 늦게 자고 오전에만 일어나도 뿌듯한 사람이라 일어나자마자 소설을 쓰고 쉴 즈음이 대개 그 시간이기 때문이다. 산책을 하면서 내가 지금까지 쓴 것을 생각하다가 빈틈을 메울 생각이 떠오르기도 하고 다음 장면을 생각하기도 하고 이 소설이 제대로 가고 있는지 고심하기도 한다. 여름 해가 뜨기 전 오래간만에 소설을 생각하며 산책을 한다. 나는 문학 전공도 아니고 소설 쓰기를 배운 적도 없고 주변에 글 쓰는 사람도 없었다. 그래서 소설가가 된 후 소설가를 만날 기회가 생기면 알고 싶은 것들을 질문하곤 했다. 글쓰기가 잘 안 될 때는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2개의 대답을 기억한다. 한 분은 그냥 걷는다, 라고 답했고 한 분은 안 되어도 앉아서 써야지 어떡해, 라고 했다. 두 분 다 그때 20년 가까이 소설을 거뜬히 써온 분이었다. 나는 2개의 답을 지금껏 생각하고 있고 그게 지금의 나에게는 정답이 되었다. 하지만 정답을 안다고 정답대로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나는 자주 책상 앞에서 벗어나고 걷는 것이 아니라 누워 있는다. 그냥 진짜 누워만 있는데, 요즘은 소설 쓰는 일에 자주 지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또 한 분의 조언이 생각난다. 건강을 챙기고 운동을 해라, 그러지 않으면 장편소설을 쓸 수 없다. 여기의 조건은 ‘나이 들수록’이다. 비교적 늦은 나이에 등단했고 처음부터 장편소설을 썼던 나는 그 조언이 그때는 크게 와 닿지 않았다. 나는 이미 젊지도 않고 약해 빠졌는데 장편소설을 쓰는 데 그리 힘이 들지 않았으니까. 하지만 그 조언의 참 의미는 어떤 고비마다 왔다. 나이는 한 살씩 먹는 게 아니라 쌓여 있다가 한꺼번에 온다는 걸을 알게 되었다. 어느 날부터 손목이 아프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허리가 아프기 시작하고 이제 어깨가 아프다. 남들은 여름휴가를 가는 시기 나는 병원을 다녔다. 의사는 어깨 인대가 손상되었다고 했다. 특정 자세를 취하지 말라고 했는데 그 자세는 하필 내가 반평생을 취해 온 자세이다. 지금도 나는 그 자세이다. 자판을 치고 노트에 글을 쓰려면 취할 수밖에 없는 자세. 그리고 의사는 옆으로 눕지 말라고 했다. 그런데 어릴 때부터 나는 그렇게 누운 자세로 책을 읽었다. 너무 크고 두껍고 무거운 책만 그 자세로 읽을

  • 관리자
  • 2024-10-01
다시 서정을 위해

[에세이] 다시 서정을 위해 권상진 스무 살 무렵이었던 것 같다. 서른이 되기 전에 시인이 되겠다고 주변에 떠들고 다녔던 기억이 아슴하다. 「홀로서기」를 외웠고 「지란지교를 꿈꾸며」를 외웠다. 이생진을 읽고 백창우를 읽고 박노해를 읽었다. 잔잔하게 때로는 웅장하게 가슴을 밀고 들어오는 시편들이 심장을 가로세로로 뛰게 만들었다. 백석과 김수영과 기형도의 이름은 몰랐지만 굳이 그들이 아니어도 충만한 시간들이었다. 시집이 이천 원에서 삼천 원 정도 할 때여서 큰 부담 없이 고를 수 있었고 외출할 때 시집 한 권을 들고 밖을 나서도 아무도 이상하게 쳐다보는 이도 없었다. 오히려 뭇 여성들의 시선이 슬쩍슬쩍 내 턱선을 지나 책장에 닿는 기분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생일이나 기념일에는 으레 서점에 들러 시집을 골랐다. 『넌 가끔가다 내 생각을 하지 난 가끔가다 딴 생각을 해』(원태연),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류시화), 『친구가 화장실에 갔을 때』(신진호) 같은 시집을 골라 슬쩍 건네던 날들이 아련하다. 스물이라는, 가라앉을 것 하나 없는 맑은 감정에서 속살거리는 말들을 시인들은 대신 말해 내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십 대는 가고 이십 대가 펼쳐지고 있었다. 고등학교 입시에 실패하고 대학을 쫓겨나 군대를 다녀오고 나니 어느새 아무데도 기댈 수 없는 성인이 되어 있었다. 오래된 가난이 불편하지는 않았지만 그때부터 가난은 나를 가만히 두지를 않았다. 공장 일을 시작했는데 처음 해보는 노동이란 게 미치도록 좋았다. 종일 몸을 쓰고 땀을 흘리는 일이 알 수 없는 쾌감을 안겨 주었고 월급이라는 보상까지 덤으로 안겨 주었다. 시를 읽고 쓰는 일만큼 일이 재미있었고 누구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살아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더없이 좋았다. 지쳐 잠들기 전 문득 돌아본 시의 한때는 짧은 여행지의 추억처럼 아득하기만 했다. 나의 스물은 급류처럼 흘러갔고 시는 둑 너머에 있어 쉽게 손이 닿지 않았다. 하지만 일과 돈, 그리고 자립의 기쁨은 오래가지 않았다. 노동은 즐겁고 땀은 향기로웠지만 갑자기 내가 꿈꾸던 삶이 이런 것이었던가 하는 질문이 나를 툭 한 번 치고 갔다. 해지는 풍경만 봐도 맥박이 난동을 부리고 꽃과 낙엽의 표정을 살피면 왠지 모를 눈물이 맺히던 한 시절의 기억이 불현듯 피곤에 지친 등을 흔들어 깨웠다. 시인이 되겠다던 꿈을 무참히 짓밟고 나를 공장 노동자로 내몰았던 대학교 재단 이사장의 말이 떠올랐다. ‘약속은 지키면 좋은 것이고 못 지키면 어쩔 수 없는 일’이라던 그의 말. 그가 지키지 않은 약속 때문에 학교에서 쫓겨난 나는 궤도를 이탈해 버린 행성처럼 어둠 속으로 무작정 떠밀려가고 있었다. 막막한 혼돈 속으로 나를 밀어 넣었던 약속이란 단어가 다시 나를 수습하고 있었다. 시간은 이미 서른을 지나갔고 아무도 내게 왜 약속을 지키지 않느냐고 물어 보는 이는 없었지만 스스로와의 약속은 끝내 지켜주고 싶었다. 그렇게 시가 다시 내게로 왔다. 세월도 변했고 시도 변해

  • 관리자
  • 2024-10-01
과거를 보는 미래 SF

[에세이] 과거를 보는 미래 SF 곽재식 며칠 전 나는 한 행사에서 SF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소개하는 발표를 하나 맡게 되었다. 발표가 다 끝나고 질문 답변 시간이 되었는데 청중 중 한 분이 “SF라면 미래를 생각해 봐야 하는데, 왜 옛날 SF를 소개했느냐?”라고 질문했다. 그날 행사 중에는 답변을 짧게 드렸지만 이 내용은 한번 깊게 따져 볼 만한 재미난 주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명작 SF로 자주 손꼽히는 1970년대 영화로 <>이라는 할리우드 영화가 있다. 찰턴 헤스턴이 주연을 맡아 대형 영화사에서 배급한 그야말로 정통 할리우드 영화인데 그러면서도 비참한 미래의 모습을 예상해서 보여주는 내용이다. 그 결말도 뻔한 할리우드 영화의 행복한 결말이라고 말하기는 매우 어려운 방향으로 흘러가기에 눈에 뜨이는 영화이기도 하다. 맨 마지막에 주인공이 외치는 대사는 SF 영화사에서 유명한 대사 순위를 꼽으면 상위권에 자주 오를 만큼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미래는 인구가 너무나 빠르게 늘어났기 때문에 멸망해 가고 있는 세상이다. 인구가 너무나 많은 데 비해 식량과 자원은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굶주리고 모든 물자가 부족해 다들 비참하게 살고 있다. 영화 제목인 “소일렌트 그린”이란 식량이 부족한 세상에서 특별히 개발해 보급 중인 신형 인공 식품을 말한다. 그러므로 <>은 19세기 맬서스의 등장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미래 인류의 멸망 시나리오라고 철석같이 밀었던, 맬서스 함정을 정통으로 다룬 영화다.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데,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성장한다.”라는 말은 어지간하면 한 번쯤 들어 보았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지구는 망한다, 그러니 사람이 많은 것은 해악이다, 라는 말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런 생각은 곧 “사람이 곧 모든 파괴의 근원이며, 사람이 없어져야 지구가 살아난다.”는 생각으로도 자주 이어지기도 한다. 재미난 사실은 이 영화에서 다루는 멸망해 가는 미래가 2022년이라는 점이다. <>은 1973년에 개봉된 영화이므로 이 영화에서 말하는 2022년이란 영화가 제작되던 1972년으로부터 50년 후를 말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런데 이 SF 영화에서 말하는 2022년의 미래라는 시간은, 2024년을 사는 현대의 우리에게는 2년 전의 과거가 되었다. 나는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이렇게 시간의 꼬임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이 굉장히 신비롭다. 게다가 요즘 이 영화의 내용을 보다 보면 더욱 중요한 사실도 깨달을 수 있다. 실제 2022년이 인구가 너무 많아 식량 부족으로 멸망하는 시간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우리가 겪고 있는 2020년대는 인구가 너무 많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인구 감소와 초고령화가 문제인 시대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만 겪고 있는 문제도 아니다. 한국에서 인구 문제가 워낙 극심하게 나타나

  • 관리자
  • 2024-10-01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