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한민국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문장의 소리 제560회 : 최민우 소설가의 점선의 영역 편

  • 작성일 2018-12-19
  • 조회수 1,029
  • 방송일2018-12-19
  • 러닝타임45분
  • 초대작가1부 최민우 소설가/2부 화가 안윤모 1


문장의 소리 제560회 : 최민우 소설가의 점선의 영역 편


인터넷 문학 라디오 <문장의 소리>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560여명의 초대손님이 다녀갔습니다. 연출과 진행, 구성 모두 현직 작가이며 2018년도는 소설가 조해진, 해이수, 시인 정현우가 함께 합니다. 지금까지의 방송은 사이버문학광장 홈페이지와 유튜브, 팟빵과 팟캐스트를 통해서 들을 수 있습니다.

ㅇ 스태프

연출 조해진(소설가)
진행 해이수(소설가)
구성작가/로고송 정현우(시인)



ㅇ 코너
- 작가의 방 : 작가를 초대하여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 책들의 방 : 책을 둘러싼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을 초대하여 이야기를 나눕니다.
- 첫 책을 소개합니다 : 첫 책을 발간한 작가가 직접 자신의 목소리로 작품을 소개합니다.








오프닝 : 다비드 르 브르통 『걷기 예찬』








<로고송>








1부 <작가의 방> / 최민우 소설가



사진작가 : 신나라



최민우 소설가는 2012년 『자음과모음』으로 등단하여 소설집으로 『머리검은토끼와 그 밖의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이번에 장편소설 『점선의 영역』을 출간했습니다.


Q. DJ 해이수 : 『점선의 영역』이라는 제목을 설명 부탁드려요.

A. 원래 이 소설은 창비의 '문학 삶'이라는 웹페이지에서 처음 연재를 했었거든요. 연재했던 중편을 장편으로 고쳐서 낸 것인데, 그 당시 제목은 "점선을 잇는 법"이었어요. 그 때도 '점선'이라는 단어는 살아 있었고요. 제목에 대해서 설명을 해달라는 이야기를 가끔 듣는데 그럴 때 제가 대답하는 말은 어떤 사람은 인생을 실선으로 보고 어떤 사람은 점선으로 본다고 생각을 하잖아요. 실선은 막힘없는, 정해진, 그리고 무엇을 해야 할지 분명히 아는 삶인데 점선이라는 것은 중간에 공백이 있죠. 그래서 쭉 나가다가도 어떤 공백 사이에 떨어졌을 때 자신이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거나 길을 잃는 혼란스러운 경우가 있는 것 같아요. 근데 우리 인생이라는 건 실선이라기보다는 점선 같고,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 자체도 일종의 점선으로 이루어진 건 아닌가라고, 책이 나온 뒤에 생각을 해봤습니다.



Q. 처음 이 작품을 구상한 계기가 되는 장면이 떠오르는 게 있으신지요?

A. 네, 있습니다. 마감이라는 장면인데요, 사실은 처음에 연재를 할 때 자세히 설명하긴 어려운 사정으로 이 연재를 좀 급하게 시작을 했었거든요. 그런데 그 전에 다른 소설 구상, 혹은 스케치를 해두다가 놔둔 부분이 있었어요. 거기에 예언이라는 테마가 있었어요. 예언이라는 테마를 지금 한 번 굴려보면 어떨까. 왜냐면 이 웹진의 성격에도 어느 정도 맞는 것 같고 연재라는 성격에도 맞는 것 같고, 그렇게 시작을 했어요. 그 전에 제가 굉장히 재밌게 읽었던 김현경이라는 사회학자의 『사람, 장소, 환대』라는 책이 있었어요. 정말 감동 깊게 읽은 책인데 그 책 초반에 보면 '그림자를 팔아버린 사나이'에 대한 우화를 분석하거든요. 그때 아마 그림자라는 테마에 대해서 생각을 해뒀던 게 있는 것 같아요. 예언과 그림자라는 그 두 가지 테마가 그때 결합이 된 거에요. 그래서 그 두 개가 생기고 나니까 나머지는 이것을 어떻게 굴리면서 이야기를 만들 것인가가 문제가 됐었고, 마감은 다음날이었고요. 아무튼 그런 식으로 이야기는 시작되었던 것 같습니다.


Q. 『점선의 영역』을 통해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으셨는지요.

A. 역시 아까 처음에 질문하셨던 제목과 연결이 되는 것 같아요. 이것이 굉장히 이상한 일들이잖아요. 설명이 잘 안 되는 일이고, 그런데 저는 그것을 꺼내놨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궁금했고, 그럴 때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하는지가 궁금했었거든요. 근데 그럴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이 세상에 이상한 것이 있다면 그것을 이해할 줄도 알아야 되는 것이 아닌가. 즉, 점선과 점선 사이의 공백에서 일어나는 일들, 그 중에 어떤 일들은 당장 우리 눈앞에 벌어졌을 때 납득하기 어려운 일들, 반드시 그게 그림자가 사라진다거나 정전이 일어나는 초현실적인 일은 아니더라도 그런 것들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우리가 보았을 때 당장 납득이 안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벌어진 일들, 근데 그것을 마치 없는 것인 양 치부해버리는 게 아니라 이상함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그것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그렇게 생각하는 게 저는 중요하다고 생각을 했고 그런 점들을 표현해보려고 노력한 것 같아요.








<내가 가장 사랑하는 문장들>


최민우 소설가가 아룬다티 로이의 소설 『작은 것들의 신』의 도입부를 읽습니다. 번역된 문장이라는 것을 감안해도 이 부분의 묘사가 정말 좋았다고 말합니다.









<사운드 앤 스토리>


최민우 소설가는 가스레인지에서 유리 주전자에 든 물이 끓는 소리를 가져왔습니다. 요즘 시대는 멍할 시간이 없는 것 같은데 차를 마시는 것보다 차가 끓기까지 이 소리를 멍하게 듣고 있으면 쉰다는 느낌이 들어서 도움이 되는 순간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고 합니다.










2부 <책들의 방>/ 화가 안윤모 1



책들의 방 초대 손님은 책을 오브제로 삼아서 그림을 그리거나 설치미술을 하시는 작가 안윤모님 입니다.


· 안윤모님의 나의 연대기
강원도 시골 영월에서 출생을 했어요. 부모님이 교직자이셔서 춘천으로 옮겨서 거기서 고등학교까지 다니다가 미술을 시작한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 비교적 좀 늦은 거 아닌가 싶을 정도로 좀 늦게 시작했던 것 같아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대학을 미대를 가야 미술을 시작을 한다고 얘기를 하잖아요. 미대에 들어가서 좀 더 넓은 세상을 보고 싶었어요. 80년대만 해도 사실은 해외여행이 자유롭게 안 되던 시절이라 외국에 대한 궁금증이 너무 많은 거예요. 지금처럼 인터넷이 있었으면 아마 유학을 안 갔을지도 몰라요. 근데 그 당시에는 인터넷도 없었고 그러다보니 해외에 대한 동경과 서양에서 들어온 서양화를 전공하니까 서양에 대한 궁금증이 폭발을 해가지고 대학 들어오자마자 유학을 준비를 했어요. 그 당시에 유학가기가 굉장히 힘들었던 게 비자도 잘 안 나오고 우리나라가 그 당시 좀 가난했던 나라였기 때문에 입학허가서는 받았는데 비자가 좀 어려움이 있었어요. 그래서 교직으로 들어가서 3년 동안 미술선생님으로 재직을 했어요. 그 당시에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대에 있다 보니 자의반 타의반 교직을 떠날 수밖에 없었고요. 그러다 다시 유학을 가게 됐고, 뉴욕시립대학 대학원에 재학을 하게 됐어요. 여기가 저에게는 굉장히 터닝포인트가 됐던 것 같아요. 사실 뉴욕시립대가 아니었으면 아마 유학을 못 갔을지도 몰라요. 학비가 저렴해서 정말 운 좋게 유학을 갈 수 있었고. 주경야독으로 맨해튼에서 낮에 디자이너로서 디자인을 하면서 학교 다니고... (한국에)돌아오면 누구나 다 똑같은 대학 강의, 흔히 얘기하는 보따리 장사, 강사 하면서 작가 생활을 했죠. 운 좋게 또 91년도에 첫 개인전을 우리나라에서 했는데 그게 나름 잘 알려지고 판매도 어느 정도 돼서 작가생활과 대학 강의 생활을 병행했던 것 같아요...(후략)










문장의 소리 560회는 팟빵과 팟캐스트를 통해서도 간편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









구성 : 박정은(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추천 콘텐츠

[문장의소리] 밈과 덕질의 바다 통속의 아름다움, 김기태 소설가 | 784회 1부

문장의 소리 제784회 : 1부 김기태 소설가 문학광장 〈문장의 소리〉는 2005년 시작된 인터넷 문학 라디오 프로그램입니다. 2024년부터 연출 유계영 시인, 진행 우다영 소설가, 구성작가 박참새 시인이 함께합니다. - 지금 만나요 : 새 책을 출간한 작가를 초대하여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김기태 소설가는 202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무겁고 높은」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2024년 젊은작가상을 수상하였다. 최근 소설집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을 출간하였다. ● 오프닝 : 김기태 소설가의 소설 「세상 모든 바다」 중에서 ● 〈로고송〉 ● 1부 〈지금 만나요〉 / 김기태 소설가 Q. DJ 우다영 : 최근 첫 소설집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을 출간하신 후 근황이 궁금합니다. A. 김기태 소설가 : 책으로 묶으면서 이 소설을 보내주어도 되겠다는 생각, 나는 이다음 장으로 넘어가 다음 소설로 떠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제가 기대했던 것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아직 못 떠나고 머무르고 있는 느낌입니다. 여러 인터뷰를 소화하고, 이런저런 메일에 답장을 보내며 보내고 있고요. 이런 게 제가 변하고 있다는 기분을 주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기분만 그런 것 같습니다. 정작 생활을 들여다보면 여전히 생업이나 살림에 많은 시간을 빼앗기며 살고 있습니다. Q. 김기태 소설가님께서 직접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을 소개해주신다면? A. 이 소설집에는 제가 2022년부터 약 2년간 발표한 단편소설 아홉 편이 묶여 있습니다. 일관된 뭔가가 있다고 소개해 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지만, 이런저런 인물들이 모여 서로 어리둥절하다가 하이파이브도 하는 소설집입니다. 제가 소설을 쓴 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래서 독자분께 유의미한 소설이 무엇인지, 제가 잘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거든요. 그런 상태에서 좋게 말하자면 유연하게, 나쁘게 말하자면 갈팡질팡으로 이 세상을 탐색한 결과물이라고 받아들여 주시면 좋겠습니다. Q.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을 두고 빼놓을 수 없는 단어는 &lsquo;통속&rsquo;과 &lsquo;미덕&rsquo;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토록 통속적인 이들 중 누군가는 끊임없이 선하고 옳은 일을 하고, 때로는 통념이 된 미덕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며 다시 통속의 군중 속으로 들어가는 순환이 세계를 가라앉지 않게 떠받드는 것 같았거든요. 작가님의 통속적인 인물이 악의보다는 선의 쪽으로 기운다고 믿고 계시는 편인가요? A. 대중이라는 존재 자체는 선의나 악의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고요. 그렇게 도덕적이지 않고, 정의롭지 않고, 현명하지 않은, 어떤 방향성이 없이 큰 잠재력을 가진 힘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Q. 그러한 세계를 세목 바라보는 의도가 궁금합니다. A. 소설을 쓰려면 어쨌든 최선을 다해 관찰해야 하지 않을까, 그런 일반적인 대답밖에 드릴 수 없을 것 같습니다. ㅇ 연출 | 유계영 시인 ㅇ 진행 | 우다영 소설가 ㅇ 구성 | 박참새 시인 ㅇ 시그널 | 손서정

  • 관리자
  • 2024-07-03
[문장의소리] 누구의 형우도 아닌 우리 모두의 형우, 김영은 소설가 | 783회 2부

문장의 소리 제783회 : 2부 김영은 소설가 문학광장 〈문장의 소리〉는 2005년 시작된 인터넷 문학 라디오 프로그램입니다. 2024년부터 연출 유계영 시인, 진행 우다영 소설가, 구성작가 박참새 시인이 함께합니다. - 당신의 첫 : 이제 막 활동을 시작한 신인 작가를 초대합니다. 김영은 소설가는 2024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말을 하자면」이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 오프닝 : 김영은 소설가의 소설 「말을 하자면」 중에서 ● 〈로고송〉 ● 2부 〈당신의 첫〉 / 김영은 소설가 Q. DJ 우다영 : 김영은 소설가님께서는 작품 활동을 시작하신 지 5개월 정도 되셨는데요. 작가라는 것을 실감하고 계신가요? A. 김영은 소설가 : 처음 등단 소식을 듣고 알려졌을 때만 해도 제가 작가라는 것이 어색하게 느꼈어요. 지금도 소개할 때 &lsquo;소설가 김영은&rsquo;이라고 소개해야 하는데, 그게 잘 안 나오더라고요. 어색하게 인사만 드리고 있습니다. Q. 언제부터 소설을 써 오셨나요? A. 소설이라는 것을 쓰기 시작한 건 고등학교 때부터인 것 같아요. 대학에 오면서 본격적으로 소설 수업을 듣고, 형식에 맞추어 서사를 쓰는 훈련을 받은 것 같습니다. Q. &lsquo;소설가가 될 것&rsquo;이라는 생각은 언제부터 하셨나요? A. 정확히 고등학생 때 소설을 쓰게 되면서 주변 친구들이 좋아해 주었고요. 10대 때 하게 되는 &lsquo;내가 뭘 해야 잘 살 수 있을까&rsquo; 하는 고민을 하다가 &lsquo;네 소설 재밌다&rsquo;는 친구들 이야기에 나중에 소설가로 살면 좋겠다는 소망을 가졌습니다. Q. 등단작 「말을 하자면」이 어떤 작품인지 간단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A. 「말을 하자면」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를 향해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주고받는 상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언어, 말버릇, 습관 같은 것들이 자신이 처한 위치에서 오는 것 같아요. 각기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 그 미세한 위치가 나뉘어진 상황을 이야기해보고 싶었습니다. ㅇ 연출 | 유계영 시인 ㅇ 진행 | 우다영 소설가 ㅇ 구성 | 박참새 시인 ㅇ 시그널 | 손서정 ㅇ 일러스트 | 김산호 ㅇ 원고정리 | 강유리 ㅇ 녹음 | 문화기획봄볕 ㅇ 쇼츠 | Make Sense ㅇ 디자인 | OTB Company ㅇ 기획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학지원팀 문장의 소리는 문학광장 유튜브와 팟빵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

  • 관리자
  • 2024-06-26
[문장의소리] 사제가 될 줄 알았던 성실한 허무주의자, 허연 시인 | 783회 1부

문장의 소리 제783회 : 1부 허연 시인 문학광장 〈문장의 소리〉는 2005년 시작된 인터넷 문학 라디오 프로그램입니다. 2024년부터 연출 유계영 시인, 진행 우다영 소설가, 구성작가 박참새 시인이 함께합니다. - 나의 문학 연대기 : 작가의 이야기를 통해 따라가 보는 인생 그래프 허연 시인은 1991년 《현대시세계》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시집 『불온한 검은 피』, 『나쁜 소년이 서 있다』, 『내가 원하는 천사』, 『오십 미터』,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시선집 『밤에 생긴 상처』, 산문집 『너에게 시시한 기분은 없다』, 『그 문장을 읽고 또 읽었다』, 동시집 『내가 고생이 많네』 등이 있다. 현대문학상, 한국출판학술상, 시작작품상, 김종철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 ● 오프닝 : 허연 시인의 시집 『나쁜 소년이 서 있다』에 수록된 시 「안에 있는 자는 이미 밖에 있던 자다」 중에서 ● 〈로고송〉 ● 1부 〈나의 문학 연대기〉 / 허연 시인 Q. DJ 우다영 : 최근 동시집 『내가 고생이 많네』와 시인 총서 『밤에 생긴 상처』를 출간하셨는데요. 출간 후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 A. 허연 시인 : 제가 동심과는 거리가 먼 사람인데, 동시집 『내가 고생이 많네』는 뒤늦게 딸 키우면서 &lsquo;어른들이 어른들의 이야기로 동시를 써 왔구나&rsquo;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의 이야기를 하는 동시가 써 보고 싶었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시인 총서 『밤에 생긴 상처』는 나름 감회가 있어요.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할 때, 80년대 중반이었는데요. 그때 살았던 시집들이 시인 총서였어요. 김수영, 김종삼, 황동규&hellip;&hellip;. 시인 총서의 가격과 학교 식당 비빔밥 가격이 비슷했어요. 2,000원에서 2,500원. 아침마다 고민했어요. 굶을 것인가, 김종삼을 살 것인가. 김수영이냐, 비빔밥이냐. 김수영이 이겼죠. Q. 22년 만에 재출간을 시작한 민음사의 &lsquo;시인 총서&rsquo; 포문을 열어주셨잖아요. 『밤에 생긴 상처』의 구성을 소개해주신다면? A. 구성은 편집자님과 상의해서 했고요. 연대기적 구성은 아니고, 카테고리로 구성했습니다. 시의 주제 같은 것으로 구성한 것 같아요. Q. 허연 시인님께서 처음으로 출간하신 동시집 『내가 고생이 많네』에 등장하는 &lsquo;허민재&rsquo; 어린이에 대해 소개해주신다면? A. 늦게 아이를 키우니까 키우는 걸 모르잖아요. 네이버 검색으로 키우다가 친구들에게 물어보면 &lsquo;너무 오래돼서 모르겠다&rsquo;고들 하고요. 아이에게 제공할 엔터테인먼트가 별로 없었던지라 한 살 반 쯤 됐을 때부터 책을 읽어줬어요. 하루는 한국어, 하루는 영어책을 읽어줬어요. 그러니까 말을 되게 잘하더라고요. 놀라운 말들도 하고요. 어른들은 큰 말을 하는데 작은 내용이라면, 아이는 작은 말을 하는데 굉장히 크더라고요. 얼마 전에는 무슨 이야기를 하다가 &lsquo;너는 Oh my god이 무슨 뜻인지 알아?&rsquo;라고 물었는데, 씨익 웃더니 &lsqu

  • 관리자
  • 2024-06-19

댓글 남기기

로그인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을 남겨 주세요!

댓글남기기 작성 가이드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방 등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주제와 관련 없거나 부적절한 홍보 내용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운영 정책에 어긋나는 내용이 포함될 경우, 사전 고지 없이 노출 제한될 수 있습니다.
0 / 1500

댓글0건